2020. 10. 2. 23:24ㆍ항공관광론/항공사의 관광 서비스 업무
운항본부는 항공기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모든 정책과 절차 및 기술 등에 관한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운항 부서의 기본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 통제 및 안전 관리 기능이다. 이는 항공기의 출발에서 착륙까지 모든 항공 교통의 흐름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맡는다. 둘째, 운항 절차 및 훈련 기능이다. 보유하고 있는 모든 항공기와 관련이 있는 운항 정책이나 절차 및 기술 등을 교육하고 개발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운항 기능이다. 안전 운항을 위해 요구되는 기준에 맞도록 조종사에 대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넷째, 승무원에 대한 스케줄링 기능이다. 운항편마다 효율적으로 인력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든 운항 승무원들의 일정을 편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운항 부분의 업무를 단위 부서별로 나누어 보면 운항 통제, 운항, 항공 교통관제 및 시스템 통제, 기상 정보, 운항 훈련, 운항 절차 및 기준으로 총 6가지가 있다.
첫 번째 운항 통제다. 항공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대부분 항공사는 시스템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항공기의 이동을 포함한 모든 운항 활동에 대한 관리는 SOC의 중앙 통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이 통제 시스템은 운항 관리사로 구성된 운항 통제 부서에 의해 운영하는데, 여기에서 지상과 공중의 모든 항공기 이동에 대하여 지속적인 운항 통제 업무가 수행된다. 운항 관리의 목적은 현재 상태에서 항공기의 운항이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원활한 흐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두 번째 운항이다. 운항 책임자(Flight Managers)는 해당 지역의 운항과 관련된 모든 활동에 대해 관리 책임을 지며, 그 내용을 해당 지역의 책임자에게 보고한다. 이들은 운항 중인 조종사 업무의 감독, 비행 전 점검과 여러 운항 조건의 파악 및 운항 승무원에 대한 지원과 조업 업무를 맡는다. 모든 조종사는 운항 책임자에게 보고하며, 기장(Captain)은 항공기에 대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진다. 기장의 명령권은 운항이 허가되는 순간부터 유효하며, 기장은 이륙에 앞서 적재된 총중량과 중량 배분, 연료의 탑재량 등이 기준과 일치하는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부조종사(Flight Officer : FO)는 비행 중 기장의 지시에 따라 활동이 정해진다.
세 번째 항공 교통 관제 및 시스템 통제다. 항공 교통 관제(Air Traffic Control : ATC) 활동은 지상을 이동하는 항공기에 대한 지상관제, 이륙과 착륙을 지시하는 비행장 관제, 그리고 이륙 후 도착지 공항에 근첩할 때까지 전체 항로에 대한 항로 관제 등으로 이루어진다. 공항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나는 지점부터 시작되는 항로 관제는 항로 관제 센터에 의해 모든 운항 구간에 대해 이루어진다. 장거리 노선의 경우, 항공기가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 경유하는 각 국가나 지역별 항로 관제 센터 간에는 관제권에 대한 권한과 책임에 대한 위임이 이루어진다. ATC 기능은 정부의 항공 교통 전담 기관에 의해 수행된다.
네 번째 기상정보다. 기상은 항공기 운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기상에 관한 업무는 한 곳에 집중되는 기상정보를 다루는 전문가들에 의해 수행된다. 운항에 이용되는 기상정보는 일반 기상정보보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구성된다. 특정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대별로 개별 노선의 기상 상태를 파악해야 하므로 중앙 기상청의 자료 외에도 위성과 레이더, 해외 공항의 기상 자료, 그리고 이동 항공기로부터 끊임없이 전달되는 기상 자료들이 모두 이용된다. 기상은 통제할 수 없는 외적 요소이기 때문에 대부분은, 항공기가 최종 목적지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없는 기상 조건으로 판단되면, 운항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다섯 번째 운항 훈련이다. 운항 훈련(Flight Training)부서는 운항 절차와 조종 훈련을 담당한다. 교육 훈련의 내용은 기초 훈련 과정에서부터 기종의 전환, 재교육 정기 순환 교육 및 숙지 훈련 등 운항 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일련의 교육 훈련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운항 훈련 부서는 세 과정으로 구분된다. 즉,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지상 교육, 비행 시뮬레이션 교육, 비행기를 이용한 운항 훈련 등이다.
마지막은 운항 절차 및 기준이다. 운항에 대한 절차 및 기준을 담당하는 부서는 모든 운항 승무원들에 대한 업무의 수행 능력을 점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는 현장의 조종사들에 대한 업무능력을 측정하여 등급의 상향 조정이나 기종의 전환 등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운항 훈련 부서에서 이루어지는 운항 및 시뮬레이션 훈련의 성과를 측정하고 감독한다.
정비본부에서 정비(Engineering and Maintenance)란 항공기의 운송력을 서비스가 가능하고 안전한 상태로 유지하는 활동이다. 이때 안전한 상태란 회사가 정해 놓은 기준뿐만 아니라 FAA와 같은 규제 당국이 정해 놓은 안전 기준이 충족된 것을 뜻한다. 그리고 판매 가능한 상태란 경쟁 항공사 보다 뒤지지 않는 쾌적성과 신속성을 갖추고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운항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정비 활동은 수많은 엔지니어링 기술이 복합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모든 항공기는 감항성을 보유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FAA의 정비 규정을 준수하도록 국제적으로 권고하고 있다. 오늘날 널리 이용되는 제트 여객기에 대한 정비 활동은 정비의 대상에 따라 크게 기체, 엔진 및 구성 부품(Components)으로 구분되고, 정비의 시점과 목적에 따라 기체나 엔진에 대한 점검 등과 같은 정기 정비, 기체 구조의 피로나 부식의 발생에 따른 부정기 정비, 그리고 객실 개조나 외장 등을 위한 외관 보수, 객실과 화물칸의 전환이나 주요 구조물 교체 등을 위한 개조 등 네 가지로 구분된다.
[항공관광론/항공사의 관광 서비스 업무] - 항공사 운항 본부와 정비 본부의 기능
항공사 운항 본부와 정비 본부의 기능
운항본부는 항공기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모든 정책과 절차 및 기술 등에 관한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운항 부서의 기본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gooma.kr
[항공관광론/항공사의 관광 서비스 업무] - 항공사 마케팅 본부와 객실승무본부의 업무
항공사 마케팅 본부와 객실승무본부의 업무
먼저 마케팅 본부의 업무부터 알아본다.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는 운항 및 정비 부서와 함께 항공사의 기본적인 라인 조직을 구성한다. 경영 관리의 권한은 흔히 마케팅 또는 서비스
gooma.kr
[항공관광론/항공사의 관광 서비스 업무] - 항공사 예약 업무의 기능과 절차
항공사 예약 업무의 기능과 절차
항공사가 제공하는 좌석은 물리적 실체로서 중요한 것이 아니고 특정 날짜나 특정 시간에 활용될 수 있을 때 비로소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존재한다. 예약(Reservation)은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상
gooma.kr
[항공관광론/항공사의 관광 서비스 업무] - CRS(Computer Reservation System)의 발전 과정과 현황
CRS(Computer Reservation System)의 발전 과정과 현황
CRS(Computer Reservation System)는 항공사의 주 컴퓨터에 아ㅕㄴ결된 컴퓨터의 단말장치를 통해서 예약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고객의 예약을 접수하고 예약된 내용을 저
gooma.kr
'항공관광론 > 항공사의 관광 서비스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 운임의 종류 (정상운임, 특별운임, 할인운임) (0) | 2020.10.17 |
---|---|
항공 기초 : 전자항공권(E-Ticket) (0) | 2020.10.14 |
CRS(Computer Reservation System)의 발전 과정과 현황 (0) | 2020.10.10 |
항공사 예약 업무의 기능과 절차 (0) | 2020.10.06 |
항공사 마케팅 본부와 객실승무본부의 업무 (0) | 2020.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