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9. 25. 02:13ㆍ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1945년 해방 후부터 1962년 2월 대한항공공사법의 제정에 따라 국영 항공사인 대한항공공사(公社)가 설립되기까지의 시기를 우리나라 민간 항공의 태동기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민간 항공의 시대적 구분에는 논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우리나라 민간 항공은 일본강점기에도 많은 활동 기록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라이트형제가 최초의 동력 비행에 성공한 지 불과 10년 뒤인 1913년 일본 해군 장교인 니라하라에 의해 서울 용산의 조선군 연병장에서 국내 최초의 동력 비행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1929년에는 일본 동경에서 만주의 대련까지 연결하기 위한 정기 노선 구축을 위해 서울 여의도 비행장을 개항하고 매일 1회씩의 정기 운송을 하기도 했다. 이 밖에 일본강점기에 이미 울산(1929), 대구(1935), 등의 지방 공항을 개설하고 운송 활동을 시작한 바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임달현의 [한국항공우주사]를 추천한다.
최초의 정기 운송은 정부 수립 직후인 1948년 10월 대한국민항공사(Korean National Airlines : KNA)가 개인 기업의 형태로 설립되어, 서울-강릉, 서울-광주-제주, 서울-옹진, 서울-부산 등 4개 노선에서 취항함으로써 시작되었다. 당시 대한국민공사(KNA)는 사기업의 형태로서 실질적으로는 일본강점기에 조선 항공업을 운영해 오던 신용욱이 해방 후 1946년 미 군정청으로부터 정기항공 운송의 사업허가를 조선항공사업사의 명의로 받아내고, 이를 정부 수립 후 명칭을 바꾼 개인기업의 형태에 불과하였다.
한편 국제 운송은 이보다 앞서 1946년 하반기에 미국의 노스웨스트항공(Northwest Airlines)이 미군 정하에서 처음으로 서울-동경 구간을 취항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리고 1953년 한국전쟁 직후 DC -3을 비롯하여 새로운 기종인 DC -4를 도입하여 정기 운송을 재개하였으며, 1954년에는 영국과 잠정적인 항공협정을 체결함으로써 국제 운송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를 계기로 1955년부터 국내 노선이 매우 증가하고, 서울-홍콩간의 동남아 국제노선이 개설되면서 국제 수지 측면에서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당시 잠재적인 운송 수요는 한국-일본과 한국-미국 노선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한-일 노선은 당시의 반일 감정으로 인해 노선 개설이 불가능하였으며, 한국-미국 노선은 이미 미군정시대에 체결된 잠정적인 항공 협정에 따라 노스웨스트항공에 일방적인 운항권을 부여하고 있었다. 그 후 미국의 일방적인 권리만을 규정한 불합리한 잠정협정의 개선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의 지속적인 요구에 따라 1957년 불공정한 조항들이 대폭으로 개선되었다. 1957년 4월 24일 체결된 협정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한국 측은 한국 내의 여러 지점에서 여러 중간 지점을 거쳐 알래스카 및 시애틀에 이르는 노선을 얻는 데 반해, 미국 측은 미국 내의 여러 지점에서 여러 중간지점을 거쳐 서울에 이르되 서울에서 다른 지점까지 더 운항할 수 있는 이원권까지를 갖는다는 것이다. 당시 미국에만 이원권이 주어진 것은 국제항공협정의 기본 정신에 어긋나는 것으로 많은 논란이 제기되었는데, 그 후 몇 차례 개정을 거치면서 대부분의 불평등조항도 개선되었다.
그러나 1961년 제2공화국의 출범과 함께 개인 기업의 형태로 운영되어 오던 민간 항공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대한항공공사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항공공사는 KNA를 인수하고, 업무 확대를 위해 조직과 기구를 확장함으로써 비로소 근대화된 민간항공의 체제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1964년에는 대한항공공사와 일본항공(JAL) 간에 상무협정이 체결되어 서울-동경 노선에서 정기운송이 시작되었다. 이를 계기로 점차 국제 운송의 비중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1961년에는 미국 노스웨스트항공의 DC -8기가 서울-동경 노선에 취항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처음으로 제트여객기를 선보였으며, 1967년 대한항공공사가 제트여객기 DC -9을 도입하면서 본격적인 제트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국영기업으로 운영되던 대한항공공사는 빈번한 항공기 사고와 심각한 경영난으로 인해 곧 심각한 경영 부실에 이르게 되었으며, 국영기업으로서 경영이 한계에 이르게 되었다. 결국 1969년 정부는 대한항공공사를 한진상사(주)에 매각함으로써 민영화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창립된 대한항공(주)은 경영합리화 작업에 성공함으로써 1970년대 들어 도약기를 맞이하였다. 한국-일본 노선과 동남아 노선의 개척, 정비, 확장 등을 통해 국제노선의 경험을 축적하고 1972년부터 미주노선에서 여객 운송을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정부는 불평등한 한미 항공협정의 내용을 대폭 개선하였으며, 1973년 서울-파리 노선의 개설을 계기로 유럽 시장의 진출을 도모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88년에는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대한항공은 운송네트워크를 대폭 확대하였다.
[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 민간 항공의 정착 3단계
민간 항공의 정착 3단계
민간항공의 정착 첫 번째는 시장규제의 확립이다. 1938년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민간항공법은 항공사의 운송 활동에 대해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을 CAB에 부여하였다. 이 법은 항공기의 운항과
gooma.kr
[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 저비용 항공사(LCC)의 등장 배경와 특징 4가지
저비용 항공사(LCC)의 등장 배경와 특징 4가지
저비용항공사(Low Cost Carrier : LCC)란 기존 시장에서 형성되어 있는 운임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수준으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공사를 총칭하며, 엄밀한 의미에서 저운임 항공사를 의미한다
gooma.kr
[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 항공 보안, 공항 보안, 기내 보안의 개념과 특성
항공 보안, 공항 보안, 기내 보안의 개념과 특성
항공 보안(Air Security)이란 항공기의 운항 활동을 저해하는 범죄 행위로부터 항공 운송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동원해서 수행하는 모든 대책을 말한다. 항공 보안은 항공기의
gooma.kr
'항공관광론 > 항공 관광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항공사들의 3가지 글로벌 제휴(스타 얼라이언스, 원월드, 스카이팀) (0) | 2020.09.29 |
---|---|
항공협정의 의의와 유형, 6가지 주요 내용 (0) | 2020.09.26 |
저비용 항공사(LCC)의 등장 배경와 특징 4가지 (0) | 2020.09.20 |
민간 항공의 정착 3단계 (0) | 2020.09.20 |
항공운송의 태동과 민간항공의 개척 (0) | 202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