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9. 19. 21:36ㆍ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1903년 라이트형제에 의해 최초의 동력비행이 이루어진 이후 항공은 오늘날까지 독립적인 산업으로 급속한 성장을 지속해 왔다. 이번 글에서는 항공운송의 태동과 함께 민간항공의 개척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다. 산업의 발달 과정을 개관하고 항공 운송의 출발을 어느 시점으로 보는가 하는 것 등은 역사적 관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최초로 상업 목적의 항공 운송이 시작된 태동기(1911~1918), 정기노선의 개설을 시작으로 정기 항공이 확대되고 국제 항공이 시작된 개척기(1918~1938), 국제 항공의 질서가 마련되고 시장 규제가 시작된 정착기(1938~1958), 제트기의 출현으로 항공 운송의 고속화와 대형화가 실현된 도약기(1958~1978) 그리고 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로 인해 시장에 경쟁의 원리가 도입된 글로벌 경쟁의 시기(1978년 이후) 등으로 구분하여 세계 민간 항공의 발달 과정을 살펴본다.
항공 운송의 태동은 우편물 운송과 정기노선의 개설이 있다.
1) 우편물 운송
항공기를 이용한 영리 목적의 운송 활동이 처음 시작된 것은 1900년대 초이다. 민간항공산업의 발달과정에 대해서는 상업 운송의 정의와 시대별 구분 기준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 항공기가 현대적 의미의 교통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직후로 보는 견해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그리고 최초로 항공기를 이용한 상업 목적의 운송 활동은 1911년 미국에서 시작된 우편물 운송이었다. 상업 목적의 우편물 수송을 가능하게 한 최초의 시도는 1911년 9월 23일부터 30일까지 일주일에 걸려 미국의 롱아일랜드에서 미네올라까지 항공 우편을 수송한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 이를 시발로 하여 조종사 Earl Ovington이 Bleriot 항공기를 사용하여 15파운드의 우편물을 매일 수송하는 시험 비행을 계속하였다. 미네올라에 도착한 우편물은 우체국에 의해 육상 교통수단으로 다시 이송되어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되었다. 신속한 항공 운송의 효용성이 미국 정부에 의해 인정되기 시작하면서 운송수단으로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의 우편물 운송은 결과적으로 민간항공에 대한 실험적 시도였으며, 단지 항공기를 이용한 운송이라는 점 외에는 항공의 실질적인 효능이 세계 각국에 걸쳐 보편적으로 인식된 것은 아니었다.
2) 정기노선의 개설
산업 초기에 모든 민간 항공은 정부 사업의 목적으로 계획되고 수행되었다. 최초의 정기 운송을 위한 노선은 1918년 미국의 워싱턴-뉴욕 구간에서 개설되어 우편물을 운송하였다. 정기노선에서 항공 운송의 효율성이 인정되기 시작하면서 사업의 규모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미국 정부는 항공기 보유 규모와 노선을 확대하여 1921년에는 전국적인 노선망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당시의 민간항공은 기술 및 경험 등의 부족으로 인해 원활한 운송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다만 정기 운송을 위한 노선을 개설하고 운용되었다는 데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918년 우편물 운송을 위한 최초의 정기 노선이 개설된 이후 1938년에는 미국에서 민간항공법(Civil Aeronautics Act)이 제정되었다. 이에 따라 민간항고위원회(Civil Aeronautics Board : CAB)가 설치되었는데, 정기노선의 개설부터 설치되었는데, 정기노선의 개설에서부터 CAB의 설치까지의 시기를 민간항공의 개척기라고 한다. 이 기간에 정기항공과 시장경쟁을 중심으로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정기항공
정기노선을 이용한 운송이 시작된 이후, 민간항고에 관한 모든 문제는 정부 주도하에서 정책적으로 다루어졌다. 1920년에는 뉴욕-샌프란시스코 간의 대륙횡단노선을 개설하였다. 당시의 우편물 운송은 조로 낮 동안 항공편을 이용하여 운송되고 야간에는 열차로 옮겨져서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항공기를 이용한 운송은 특히 단거린 노선보다는 장거리 노선에서 운송의 신속성이 주목받았다. 이러한 운송 시간의 단축은 1942년 당시 최고성능의 엔진, 통신 수단과 항법장치 등이 개발되면서 더욱 가속되었으며, 특히 야간 운항이 가능해짐에 따라 항공운송의 효용성이 더욱 노팡지게 되었다.
미국에서 민간항공의 발전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 유럽 지역에서도 항공의 상업화가 진전되었다. 1919년 헤이그에서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전신인 국제항공교통협회(International Air Traffic Association)가 설립되었다. 이는 국제 민간항공의 질서를 위해 파리조약을 체결하는 계기가 됨으로써 영공주권주의가 확립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이시기를 기점으로 유럽 각국에서는 국영기업의 형태인 항공사와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을 받는 민간 부분의 정기 항공사들이 등장하였다. 프랑스, 독일, 영국, 네덜란드, 스위스 등을 시작으로 벨기에, 스웨덴 등이 항공사를 연이어 설립하면서 경쟁적으로 항공 운송을 개시하였다.
2) 시장경쟁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걸친 약 20년간은 세계적으로 항공 운송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킨 시기에 해당된다. 세계 각국에서 상업목적의 민간항공이 시작되었을 뿐만아니라, 공항의 건설과 항공 노선의 개발, 항공안전시설의 개선에서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30년 후반까지 항공업계는 규모의 투자에 비해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아 경영상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시장진입이 비교적 자유로운 산업 초기였기 때문에 일부 시장에서는 항공사 간의 경쟁 또한 극심해서 우편물에 대한 운수권(Traffic Rights)을 확보하기 위해 운항 원가에도 못 미치는 운임으로 운항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 시기 동안 소형 항공사들은 대형 항공사들과의 경쟁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불공정한 경쟁요인을 제거하고 중소형 항공사들의 존립을 위협하지 않는 시장여건을 조성함으로써 산업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항공업계의 활동을 적절히 규제할 하나의 통합된 기관 혹은 기우의 필요성이 주목받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미국 정부는 민간항공위원회(Civil Aeronautics Board : CAB)를 설치하였다.
[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 항공관광업무의 주요 내용 5가지
항공관광업무의 주요 내용 5가지
항공관광업무는 기본적으로 여객을 대상으로 하는 운송 서비스(Transportation)와 접객 서비스(Hospitality)로 구성된다. 운송 서비스는 여객의 안전한 공간적 이동과 관련한 업무를 말하며, 항공기의
gooma.kr
[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 민간 항공의 정착 3단계
민간 항공의 정착 3단계
민간항공의 정착 첫 번째는 시장규제의 확립이다. 1938년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민간항공법은 항공사의 운송 활동에 대해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을 CAB에 부여하였다. 이 법은 항공기의 운항과
gooma.kr
[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 국제 항공사들의 3가지 글로벌 제휴(스타 얼라이언스, 원월드, 스카이팀)
국제 항공사들의 3가지 글로벌 제휴(스타 얼라이언스, 원월드, 스카이팀)
제휴(Alliance)란 경쟁 관계에 있는 기업끼리 특정한 사업이나 업무 분야에 대해 협력 관계를 맺는 것을 말한다. 항공사 간에는 항공기 좌석, 마케팅 활동 및 서비스 시설을 상
gooma.kr
'항공관광론 > 항공 관광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비용 항공사(LCC)의 등장 배경와 특징 4가지 (0) | 2020.09.20 |
---|---|
민간 항공의 정착 3단계 (0) | 2020.09.20 |
항공관광업무의 주요 내용 5가지 (0) | 2020.09.18 |
항공관광의 정책과 상호 관련성 (0) | 2020.09.18 |
항공운송의 관광산업 촉진 효과와 특징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