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의 의의와 구성요소

2020. 9. 15. 23:52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반응형

 관광의 개념이란, 세계관광기구 (Wold Tourism Organization : WTO)의 정의에 따르면, 관광(tourism)이란 '레저, 사업 및 기타의 다른 목적으로 1년 미만의 기간 동안 일상의 환경에서 벗어나 다른 장소로 여행하거나 또는 다른 장소에서 체재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일상의 환경이란 거주지역 내에서의 여행이나 거주지와 직장 사이를 오가는 일 그리고 거주지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적 활동을 위한 공간이동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관광의 현상을 보다 포괄적으로 정의하면, '소비주체인 여행자들이나 방문자들을 유인하고 환대하는 과정에서 여행자, 관광자원,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과 현지의 주민 그리고 정부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이 유발하는 모든 관계와 사회적, 경제적 현상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관광산업과 환대산업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관광산업 (tourism industry)에 대한 정의는 관광현상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관광객을 위하여 운송, 숙박, 음식, 오락, 휴양 및 용역을 제공하거나 기타 관광에 부수되는 시설을 갖추어 이를 이용하는 사업의 집함을 관광산업이라고 한다. 한편 오늘날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관광산업 대신 환대산업(hospitality industry)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환대산업의 개념에는 순수한 관광 목적의 여행자뿐만 아니라 인적, 물적 환대를 필요로 하는 모든 서비스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 포함된다. 따라서 업무 목적의 여행과 관광 목적의 여행을 모두 포함하는 여행업(travel), 호텔 등의 숙박업 (lodging), 레스토랑 등의 외식업 (food service), 카지노업 그리고 각종 레저와 이벤트를 위한 오락업 (entertainment business), 좁은 의미의 관광업 등이 모두 환대산업을 구성한다. 이 경우, 관광산업은 환대산업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관광상품이란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편익을 제공하는 모든 경제 재화를 말한다. 상품은 일정한 형태를 갖춘 유형상품과 형태가 없는 무형상품으로 구분된다. 관광상품이란 소비자의 관광욕구(tourist 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한 활도과 관련된 유형의 상품과 이를 제공하는 무형의 서비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유형, 무형의 복합적 상품이다. 관광상품에 대한 정의는 학자나 기관마다 다양하다. WTO에서는 '관광을 유인하는 매력물, 운송수단 및 숙박시설 그리고 이와 관련한 서비스와 기타 유인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한국관광공사에서는 관광의 범주를 확대하여 경제적 가치를 수반하는 모든 관광업계의 거래활동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넓은의미에서 관광상품이란 관광업계가 생산하는 일련의 재화와 서비스를 의미하는 반면, 좁은 의미에선 관광상품은 여행상품과 관련한 일련의 서비스이거나 또는 관광사업자가 관광자원을 이용하여 경제적 거래를 전제로 이를 상품화한 것으로 정의된다.

 관광을 구성하는 요소는 관광현상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그 내용이 각각 달라진다. 우선 관광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집단을 기준으로 구성요소를 정의하면, 첫째, 관광의 소비주체인 여행자, 둘째,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판매가 이루어지는 관광산업, 셋째, 각종 정책을 통해 관광활동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광지의 정부, 마지막으로 관광객들과 직접적인 인적 접촉과 상호작용을 통해 관광의 가치를 창출하는 관광지의 주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독립적인 산업으로서 관광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구성된다.

 ■ 관광 관련 기구
우선 오늘날 국제관광의 질서를 형성하고 있는 국제기구 및 지역별 관련 기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세계 모든 국가의 관광객이나 관광에 대한 이해관계를 대표하며 국제관광의 기본질서를 형성하는 세계관광기구(WTO), 관광과 관련한 모든 관련산업의 대표자들로 구성되는 세계여행관광위원회(World Travel and Tourism Council : WTTC), 그리고 민간항공운송의 제반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항공운송업체들로 구성되는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ation Association : IATA)와 각국 정부의 대표들로 구성되는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 ICAO) 등의 국제기구와 관광개발과 진흥 등을 목적으로 태평양, 아시아 지역의 대표들로 구성되는 태평양-아시아혀행협회(Pacific Asia Travel Association : PATA)와 같은 지역별 관련 기구가 있다.

 ■ 교통과 숙박시설
공간적 이동을 통해 관광의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는 요소로써 교통수단과 관광지에서의 숙박 및 음식료 등의 서비스 시설이 있다. 예를 들어, 관광에 이용되는 교통수단으로는 항공, 철도, 자동차, 버스 등의 육상교통과 유람선 등의 교통수단 등이 있다. 호텔과 레스토랑 등의 숙박시설도 관광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요소들이다.

 ■ 유통기관
관광상품을 생산자로부터 최종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유통기관을 들 수 있다. 관광회사 등의 여행업자(Travel Agent), 이들로 구성되는 여행사 기구, 스스로 여행 패키지를 구성하여 이를 판매하는 도매 및 소매업자(Tour Saler) 등이 관광산업의 유통구조를 대표하는 요소들이다.

 ■ 관광매력물
관광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소비자의 여행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관광매력물(Tourism Attraction)이다. 관광매력물은 자연적, 인공적으로 다양하게 여행자에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휴식이나 오락을 위한 공원이나 카지노, 레크레이션, 스포츠, 공연, 쇼핑, 교육 등 매우 다양한 형태들이 그 내용을 구성한다.

 

[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 저비용 항공사(LCC)의 등장 배경와 특징 4가지

 

저비용 항공사(LCC)의 등장 배경와 특징 4가지

 저비용항공사(Low Cost Carrier : LCC)란 기존 시장에서 형성되어 있는 운임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수준으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공사를 총칭하며, 엄밀한 의미에서 저운임 항공사를 의미한다

gooma.kr

[항공관광론/항공사의 관광 서비스 업무] - 항공사 운임의 종류 (정상운임, 특별운임, 할인운임)

 

항공사 운임의 종류 (정상운임, 특별운임, 할인운임)

 일반적으로 국제선 항공 운임은 여행 기간, 여행 조건, 여행자의 신분 등에 따라 정상운임, 특별 운임, 할인 운임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 정상운임(Normal Fare)은 예약 내용, 여정, 이용항공사,

gooma.kr

[항공관광론/항공 관광의 기초] - 항공 보안, 공항 보안, 기내 보안의 개념과 특성

 

항공 보안, 공항 보안, 기내 보안의 개념과 특성

 항공 보안(Air Security)이란 항공기의 운항 활동을 저해하는 범죄 행위로부터 항공 운송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동원해서 수행하는 모든 대책을 말한다. 항공 보안은 항공기의

gooma.kr

반응형